지난 포스팅에서 샴페인도 와인의 한 종류이고 샴페인은 스파클링 와인이다라고 배웠다.

근데 "모든 스파클링 와인이 샴페인은 아니다" 라니 무슨 말인가?

스파클링 와인은 와인의 한 종류이고 샴페인으로 불릴 수 있는 스파클링 와인은 제한되어있다.

와인은 스타일에 따라 드라이와인, 스위트와인, 스파클링와인, 주정강화와인 으로 나뉠 수 있다. 각각의 분류에서는 또 화이트, 로제, 레드의 색상으로 분류 될 수 있다. 여튼 스파클링 와인은 탄산을 함유한 와인의 한 종류인데

어떤 스파클링 와인이 샴페인이라 불릴 수 있을까?

 

샴페인은 사실 와인 산지 이름이다. 프랑스의 Champagne(불어로 상파뉴) 지역을 영어식 발음으로 말한 것이다.

샴페인은 와인은 프랑스 상파뉴 지역에서 만든 스파클링 와인을 말한다. 정확히는 상파뉴 지역의 샴페인 와인에 대한 원산지보호명칭(AOP) 규정을 지켜서 생산된 와인만 불릴 수 있다. 이 규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Methode Traditionelle(전통방식을 의미, 과거에는 Methode Champagnoise로 일컬었지만 1994년 EU에 의해 변경) 방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고품질의 탄산과 특유의 효모(Yeast)에서 오는 향을 얻기 위해 일반적인 드라이 와인과 달리 병 안에서 다시한번 발효를 시키는 방식인데 상파뉴 지역 고유의 방식이다. 사실 이 전통방식의 원조는 따로있는데 이 부분은 다음에 다시 알아보자. (우리나라로 비유하자면 이천쌀이라는 이름을 달고 쌀이 납품되기 위해서 지자체에서 규정하는 품질 수준을 맞추어 생산하는 것이다.) 그래서 프랑스에서 샴페인 이외의 지역에서 전통 방식(Methode Traditionelle)로 만들어도 샴페인이라는 명칭을 달지 못하고 대신 크레망(Cremant)라는 명칭을 달아야 한다. 그리고 스페인에서는 카바(Cava), 이태리에서는(Spumante), 독일에서는 젝트(Sekt)라는 지역 고유의 명칭을 사용한다. 물론 각 명칭들도 각자의 규정에 따라 만들어져야 한다. 그 이외 지역의 와인들은 그저 스파클링 와인으로 불릴 수 있다.

 

 

상파뉴(Champagne) 지역은 스파클링 와인의 근본이라 할 수 있고 현재 전 세계의 와인 산지에서 고급 스파클링을 만들때 하나의 기준이 된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선 상파뉴 전통 방식의 생산 과정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것은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자.

 

반응형

최근들어 마트에서 와인을 사서 집에서 혼술하는 혼술족이 많아진 듯 하다.

혼자 먹기엔 와인 한 바틀(750ml)는 양이 많기도 하다.

이렇게 남은와인이 생기면 버리기엔 아깝고 어떻게 보관해야할지 모르겠다.

 

일단 와인을 오픈하게되면 가급적 하루안에 다 마시는게 좋다. 와인을 오픈하는 순간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서 산화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산화 반응과 함께 와인의 풍미는 사라지고 꿉꿉한 향과 함께 시큼한 향과 맛이 나게 된다. 이는 잘라놓은 사과가 갈변하면서 텁텁하고 시큼해지는 원리와 같다. 와인의 에탄올(Ethanol)은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로 변화면서 자극적인 향이 나게 되고 아세트산(Acetic Acid)이 증가하여 식초처럼 시큼한 맛이 나게 된다. 결국 와인은 일부의 프리미엄급 와인을 제외하고는 하루만 지나도 그 맛이 달라지고 2일 3일이 지나면 못먹을 정도로 맛이 변하게 된다.

 

그래도 와인을 보관 해야겠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와인의 산화를 그나마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추가적인 공기를 막고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다. 와인을 코르크로 막고 냉장고에 보관하면 된다. 냉장고온도 정도의 저온에서는 화학작용이 조금이나마 늦춰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마실때에는 화이트 와인은 냉장고 온도에서 마시면 되지만 레드와인은 마시기전 20분정도 실온에서 두어 온도를 높여 마시면 된다. 그리고 아무리 냉장보관을 해도 3일 ~ 7일이 지나면 못먹을 와인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 경우 조리용으로 사용하길 추천한다. (와인을 그냥 알콜이다 싶다면 코를 막고 그냥 마셔라~)

반응형

+ Recent posts